라) 질식사
질식사는 0세와의 사인(死因) 중 제일 큰 원인이다. 이것은 그 책임의 대부분이 어른 측에 있다.
0세와 때에는 손에 잡히는 대로 무엇이든 입에 집어넣으므로 가까운 곳에 집어삼킬 수 있는 물건이 놓이지 않도록 어른들은 충분히 주의하여야 한다. 유아가 자고 있을 때는 주위의 사정을 수시로 살펴주어야 한다.
질식사는 유아가 자고 있을 때 이불이나 비닐 따위가 입이나 코를 가렸을 경우, 어머니와 유아가 바싹 붙어 자는 경우, 유아가 엎드려서 자는 경우에 일어나는 사고이다. 이 밖에 잘못하여 장난감이나 사탕, 동전 등을 삼킴으로써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 질식에 의한 사고는 0세 아예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1~4세 어린이들에게도 제법 있으므로, 유아의 손이 닿는 곳에는 절대로 위험한 물건을 놓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0세와는 달리 2세 이상이 되면 자기 마음대로 받침대를 가져다 놓고 높은 곳에 있는 것을 끄집어내는 능력도 몸에 익히는 만큼 높은 곳에 물건을 놓아두면 안전하다는 단순한 생각은 금물이다. 유아에게 위험한 물건은 자물쇠로 잠가두는 장소에 보관하여 두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마) 기타의 사고
1~2세 어린이들에게는 몸놀림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사고가 잦으며, 3세 이상에서는 주의력이 부족하여 몸의 균형을 잃는 데서 일어나는 사고가 잦다. 그 밖에도 사망까지 이르지는 않으나 여러 종류의 사고가 유아에게 발생하고 있다.
유아들은 자기 혼자서는 엄두를 못 내던 것도 여럿이 하면 위험하다는 생각을 잠시 잊고 따라 하게 되므로 어른들은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창문이나 계단 난간, 대에 따라서는 피아노나 오르간 위에 걸터앉았다가 추락하는 경우도 있으며, 올라앉았던 오르간이나 의자와 함께 넘어져서 그 밑에 깔려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여럿이 한 곳에 올라갔을 때는 제법 무거운 중량으로 넘어지게 되어 사고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유치원, 유아원에서는 추락이나 굴러떨어지는 것에 의한 사망 사고가 가장 잦다.
이들은 대부분이 손가락 사고로서, 그 사고로 인하여 사망하는 경우는 없지만, 유아에게 자주 일어나는 사고들이다. 때로는 손가락을 자르지 않으면 안 될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틈바구니에 끼이는 사고의 대부분은 문의 개 폐부, 특히 경첩 같은 데에 손이 끼임으로써 발생하며 유아들은 그 부분이 위험하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해서 사고가 일어난다. 즉, 문이 닫힐 때 그 부분이 죄어든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인데, 좀 나이가 들면 문 개폐 시에 경첩 부분이 어떻게 된다는 것을 잘 이해시킬 필요가 있으며, 연소 아들에게는 그와 같은 곳에서 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틈바구니에 끼이는 사고는 문짝 사이나 경첩에 손을 놓았다가 그사이에 끼이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자신이나 다른 어린이가 무심코 닫아버리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밖에도 접는 의자에 손가락이 끼인다든지, 피아노나 오르간 뚜껑, 창문을 여닫을 때 손가락이 끼이는 것 등의 사고가 있다.
2. 유아기 체육 놀이의 특징
1) 체육 놀이의 특징
놀이란, 주로 아동과 관련된 행동으로서 외부의 강요나 강제성이 없이 짧은 시간일지라도 스스로 즐거움을 누리면서 그 일에 몰입하는 연속적인 행동을 말한다.
유아기에는 흥미와 함께 지속적인 관심을 주는 동시에 어린이가 생각하면서 활동할 수 있는 운동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이들에게 주어지는 운동은 틀에 박힌 것보다는 놀이 중심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적당한 운동은 신체의 발육을 더욱 빨리 진행하고 과도한 운동은 신체의 발육을 방해한다는 것이 신체 활동에 관한 생물학적 법칙이다. 따라서 즐겁게 활동하는 신체활동 놀이는 유아기의 신체 발육을 빨리 진행하며 나아가서는 질서 있는 사회생활을 배우고 잠재력을 개발시키는 데에도 매우 적절한 방법이다.
행동에 대한 즐거움이 모든 놀이의 필수 요소가 되므로 아동은 주어진 놀이가 즐거움을 줄 때만 몰입하고, 싫증이 나게 되면 놀기를 중단해 버리거나 더욱 즐거울 수 있는 새로운 활동을 찾게 된다. 이것이 아동기 놀이의 특징이다.
한편 Erikson은 "놀이는 한 학습 과정으로서 그때그때의 단계에서 가능한 일을 완성하며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능력을 극대화함으로 자기 치료와 자기 교육을 포함한다.”고 지적하였다.
Scarfe가 "아동의 놀이는 주변 세계와 자신과의 관계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아동이 탐구하고 실험하는 방법이다.”라고 지적한 바와 같이, 아동은 그들의 내부 세계와 외부 세계를 관련짓기 위하여 적당하게 선택된 놀이 또는 자발적인 놀이로 인생의 경험을 반복하면서 완성하거나 수정해 나가게 된다.
연령별 운동 놀이의 특징에 관한 이론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3세아의 신체활동 놀이
3세는 일종의 완성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새로운 성장을 가져오는 시기이다. 사회성의 발달도 뚜렷하여 친구들의 수도 늘어나고 놀이 활동도 활발해진다. 그리하여 집단 놀이를 좋아하게 된다.
(2) 4세아의 신체활동 놀이
4세는 유아기 중 가장 발달이 가장 성행하는 매력적인 시기이다. 이때 대뇌는 성인의 약 80%에 이르기까지 발달하며, 대뇌의 발달은 지능의 발달과 함께 신체적 기능의 발달까지도 촉진한다. 그리하여 모든 운동의 기초가 되는 걸음걸이가 성인과 거의 동일한 정도까지 이르게 된다.
(3) 5세아의 신체활동 놀이
5세는 모든 유아기를 통하여 심신의 발달이 다 같이 안정되어 조화와 종합을 이루는 시기, 즉 유아기의 마무리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때에는 급격한 정신적 발달에 맞추어서 신체적 조건도 운동에 적합한 균형 잡힌 체형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 체육 현장 지침서 유아 체육 교육
저자 소정룡
감수 손원호
편저 교육학 박사 소정룡
도서출판 진리탐구
'유아체육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 놀이의 가치 (1) | 2022.09.30 |
---|---|
수면-안전 (2) | 2022.09.30 |
유아기 정서의 특징 (1) | 2022.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