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체육교육

건강 생활

by one_day 2022. 9. 30.
728x90
반응형

④ “출발”신호와 “멈춤” 신호가 어떤 것인가를 미리 아동에게 알려라.
⑤ 가능하다면, 움직임 시범은 피하라.
⑥ 움직임 활동을 할 만한 공간을 제공하라.
⑦ 한계선을 설정하라.⑧ 안전을 고려해야 한다.
(3) 아동의 독창적인 생각과 활동을 요구하고 격려하는 방법
① 교사가 아동에게 언어를 사용하는 방법
가) 구체적 교수: “팔꿈치를 무릎에 닿게 해보아라.”, “팔을 머리 위로 높이 뻗어볼까?”, “몸을 얼마나 작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니?” 등의 교수.
나) 질문: “아무도 네 발꿈치를 보지 못하도록 숨길 수 있니?”, “이 줄 앞으로 뛰어넘었다가 뒤로 뛰어넘을 수 있니?”, 이방 안을 한 발로 뛰어다닐 수 있니? “ 등의 질문.
② 교사는 항상 아동 주위에서 움직이면서 과제에 반응하는 아동의 행동을 관찰한다.
③ 교사는 특수한 형태와 기술을 가르치기보다는 인간의 신체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들을 격려함으로써 아동이 움직임을 통하여 움직임의 가능성을 발견하도록 하고, 아동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자극하는 것이다. 교사는 관찰자, 해석자, 의사 결정자로서 교수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4. 건강 생활
1) 성격
영역 내용 체계
① 감각 및 신체 인식-기본적인 감각 능력을 기르고 자기 신체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
② 기본 운동 능력-유아에게 필요한 기본 운동 능력과 기초체력을 기르며 즐겁고 적극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
③ 건강-청결, 영양, 질병 예방, 휴식을 포함하는 신체 건강뿐 아니라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 실천하게 함으로써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
④ 유아가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형성
위의 내용은 건강한 생활을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체력을 기르고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심신을 조화롭게 발달시키기 위한 영역이다. 이 영역에서는 유아기에 반드시 길러져야 할 기본적인 감각 운동 기능을 형성하고, 대소 근육과 기본 운동 능력을 기르며, 건강과 안전에 대한 기초 지식과 기술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사회생활의 기초가 되는 올바른 생활 습관과 태도를 완성하는 데 역점을 둔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 일과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개별적인 대화나 시범 등의 방법을 통해 생활교육으로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특히 건강생활의 주요 내용은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 실제 행동으로 실현되어야 하므로 교사의 설명이나 지시에 의해 가르치려 하기보다는 직접적인 경험과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한다.
2) 목표
건강생활 영역의 목표는 국가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유아기의 발달적 특징과 이론이 제시하는 바에 기초하여 설정되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 유아의 신체 발달상의 변화나 특징을 고려하였으며, 우리 사회에서 관심이 고조되는 유아의 체력 저하에 관한 문제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필요성도 반영하였다.
이상의 준거를 통해 설정된 전체 및 하위 목표는 다음과 같다.
자기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함께 생활에 필요한 기초 체력을 기르고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습관을 가진다.
① 다양한 신체활동과 감각경험을 통하여 자기 신체와 주변 세계를 인식하는데 필요한 기초 체력을 기른다.
② 신체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함으로써 기본적인 운동 능력을 익히고 기초 체력을 증진한다.
③ 건강과 안전에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익힘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습관을 가진다.
④ 신체활동에 즐겁게 참여함으로써 건강한 정신을 기른다.
3) 개정 중점
(1) 유아교육에 대한 우리 사회의 다양한 요구 반영
① 유아의 신체운동 활동 강조
식습관 태도뿐만 아니라 영양 지식에 관한 내용보완 안전 교육의 내용 보완
(2) 유아의 기본운동력을 기름으로써 기초체력의 증진 도모
오늘날 유아들은 과거에 비해 앉아서 하는 활동의 비중이 높고 유아기에 충분히 발달하여야 하는 운동 기술의 부족으로 건강상의 문제를 갖게 되어 기본운동 기능의 학습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시기이다.
(3)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해 예방적 차원에서 건강의 개념을 강조하고 신체 건강 및 정신 건강 도모
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의 상태를 의미
② 유아의 심신을 조화롭게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신체 건강 및 정신 건강 강조
③ 정신 건강은 궁극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자신의 감정을 바람직한 방법으로 조절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유치
4. 유아기의 신체적 건강과 발달은 모든 발달의 출발
⑤ 건강한 신체에서 건강한 정신의 형성
(4) 건강 생활 실천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 및 태도 강조
①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뿐 아니라 올바른 생활 습관이나 태도를 형성할 수 있게 내용을 구성
2. 안전 교육은 생존과 직결되므로 위험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의 습득 강조

유아 체육 현장 지침서 유아 체육 교육
저자 소정룡
감수 손원호
편저 교육학 박사 소정룡
도서출판 진리탐구

 

'유아체육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체육 지도법  (1) 2022.09.30
유아 교육에서의 체육  (0) 2022.09.30
발육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조건  (0) 2022.09.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