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체육교육

유아체육 지도법

by one_day 2022. 9. 30.
728x90
반응형

1. 유아의 심신의 발달과 건강지도
1) 유아기 신체운동의 발달
(1) 체력과 운동 능력의 발달
실제로 유아의 운동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은 4세 경부터이다. 그때까지는 동작이 미숙하고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신체적 능력으로서의 체력과 운동능력을 명백히 가려내는 일이 어려울 수도 있다. 기본 운동의 기능에 더 능숙해져 가는 것과 더욱 많은 종류의 기본 운동의 기능을 몸에 익히게 되는 것은 4세 이후이고, 그때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것이 체력과 운동능력이다. 물론 이동 운동의 기능에서도 그 시기 나름대로 체력과 운동 능력의 영향을 받는다. 체력과 운동 능력은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어른의 체력과 운동 능력은 몇 개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다음의 요소가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는 체력과 운동 능력의 요소들이다.
가) 순환기계의 지구성의 영역
순환기계의 지구성이란 운동을 할 때 숨이 차지 않은 상태로 계속 진행할 수 있든지, 운동을 하다가 쉬었을 때 빨라진 호흡과 맥박의 상태가 빨리 정상을 찾는 힘이다.
유아의 경우 위의 요소 중 속도, 순발력, 근지구력, 민첩성, 협응성, 평형성 등은 획득된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이 능력의 요소를 가려내어 측정할 수 있는 시기는 아동기 후반부터이며, 연령이 낮을수록 몇 개의 요소가 합쳐져야 가릴 수 있다.
나) 유아의 운동 능력
민첩성과 협응성의 능력을 표시한 것이지만, 유아기에는 남녀 차이를 거의 볼 수 없다. 이것은 풍선 놀이나 공의 기능 등에 관계되는 능력이다. 또한 4세 후반부터 발달이 뚜렷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2는 한쪽 발로 서는 과정을 나타낸 것인데 유아기부터 여아가 남아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5세부터 발달이 뚜렷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그네와 평균대 등에서 논다든가 할 때 필요한 능력인데, 여아가 빨리 익숙해진다.
그림 3-3은 양팔로 몸체를 지탱하며 계속되는 시간의 발달을 보인 것이다. 근지구력은 순발력과는 달리 유아기에서는 남녀의 차이를 거의 볼 수 없다. 4세 반부터는 6개월의 연령차가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매달린다거나 기어오르는 등의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것도 5세를 전후한 때부터이다.
그림 3-4는 멀리뛰기에서 볼 수 있는 능력의 발달이다. 유아기부터 남녀의 차가 보이는 것, 또 5세 이후 그 차가 커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림 3-3〕 양팔로 몸체 버티기의 발달 곡선
그림 3-4〕 멀리뛰기의 발달 곡선
4세 반부터는 6개월의 연령차도 볼 수 있다. 3세 된 어린이는 멀리뛰기의 기능을 아직 충분히 익혔다고 볼 수 없다. 멀리뛰기의 동작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면 멀리까지 뛰기 위하여 운동 능력의 순발력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림 3-5는 25m를 주파하는 시간의 발달을 표시한 것이다. 5세 경이 되면 남아가 여아보다 우수함을 엿볼 수 있다. 또한 5세 경부터 뚜렷이 발달하는 것도 알 수 있다.
그림 3-6은 원을 그리면서 실패에 실을 감는 운동의 발달을 표시한 것으로 손놀림과 발 움직임과의 협응능력을 보여준다. 두발 가지런히 하여 뛰어넘기를 보면 유아기에는 남녀 차를 거의 볼 수 없으며 5세 이후의 발달이 뚜렷한 것을 알 수 있는데 공을 취급한다든지 하는 기능의 가진 것에 관계되는 능력이다. 유아가 체력을 향상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운동 기능을 몸에 익혀 그 기능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논다는 뜻이다. 그러나 체력과 운동 능력 신장에 필요한 직접적인 운동을 강요하여 체력을 향상하는 것은 유아기부터 아동기에 이르기까지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여러 가지 활동적인 운동과 적극적으로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해 주는 것과 활발히 놀게 하는 한편, 자신이 할 수 있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유아에게 의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 운동 경험과 정신적 발달
활동적인 운동을 경험하는 것은 어린이의 지적 발달 및 개성 발달과도 관계가 있다. 즉 3세 아동이 나름대로 활동적 운동을 접하게 되는 것은 운동 능력의 발달과 3세 아동 나름의 지적인 발달이 배경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운동을 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그 운동을 경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표 3-1은 연기 정도가 어려운 체조부터 차례로 제1채도, 제2채도, 제3 체조로 정해 놓고, 이 체조를 어린이들 앞에서 직접 표현해 보았을 때와 말로 설명만 하고 그 직후에 어린이들에게 재현시켰을 때 어린이들의 재현 능력을 비율로 표시한 것이다.
<표 3-1> 어려운 체조를 실연해 보였을 때와 말로 시켰을 때 아동의 재현 능력(%)
표 3-2는 5세 된 어린이에게 멀리뛰기를 시켰을 때 ‘폴짝 뛰어보세요’(뛰는 모습을 말함)라고 할 때를 100이라고 했을 때, ‘뛸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뛰어보세요'라고 말한 그룹과 '저 산까지 뛰어 보세요(목표를 ‘폴짝 뛰어 보세요’라고 할 때보다 2~% 증가한 선으로 표시한다.)’라고 말한 그룹이 뛴 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이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어린이들에게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해 주었을 때 어린이들이 의욕적으로 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운동에 임할 때의 마음가짐과 운동을 계속할 때의 의지력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유아기에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목표를 제시해야 의욕을 갖고 운동에 임하게 된다.


유아 체육 현장 지침서 유아 체육 교육
저자 소정룡
감수 손원호
편저 교육학 박사 소정룡
도서출판 진리탐구

 

'유아체육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체 균형의 변화  (1) 2022.09.30
건강 생활  (0) 2022.09.30
유아 교육에서의 체육  (0) 2022.09.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