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체육교육

놀이의 정의

by one_day 2022. 9. 29.
728x90
반응형

2) 놀이의 정의
놀이의 심리적 과정은 일의 심리적 과정과 같다. 어떤 문제 상황에서 문제의 분석과 조작이 필요하며, 상상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등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하다. 문제를 해결하고 난 뒤에 느끼는 성취감도 놀이에서나 일에서나 똑같이 경험할 수 있는 과정이다. 그러나 놀이가 일과 다른 것은 놀이는 자발적이어야 하고 거침이 없어야 하며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놀이란, 인간이 메일의 생활에서 발견하고 해결해야 하는 일의 심리적 과정과 비슷하지만, 놀이는 자신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것이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만 만족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섯 살 꼬마 민이는 자신의 반에 들어서자마자 곧바로 칠판에 ‘시골’, ‘할머니’라고 글자를 적었다. 그리고 같은 반의 연이는 교실에 들어서자마자 소꿉놀이 도구가 있는 곳으로 가서 앞치마를 두르고 장난감 냄비를 들고 맛있는 요리를 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우리는 민이의 행동을 공부라 칭하고, 연이의 행동을 놀이라고 칭할 수 있을까?
아동은 놀이를 통해서 학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외적 요구에 의한 학습을 위한 의도적인 놀이가 되면 진정한 의미에서 놀이가 될 수 없다. 또 놀이는 탐색적일 수 있다. 놀이에서의 탐색은 놀이 자신의 호기심에서 행해질 때 놀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외적 요구에 의해 두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탐색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그것은 놀이가 아니다. 한 마디로 놀이의 필수적인 요소는 아동 스스로가 선택하고, 선택한 일에 참여하는 자발성이다.
아동의 놀이를 자세히 보면, 똑같은 일을 계속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미 재미없는 일이 되었다고 해도 계속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럴 때도 아동 자신이 선택해서 반복할 때 우리는 이를 놀이라 본다. 그러나 같은 활동이라도 외적인 요구에 의해 행해질 때는 놀이라고 보지 않는다.
3) 놀이의 기능과 가치
① 놀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아동이 학습을 흥미롭고, 즐겁게, 유익하게 오랫동안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한다. 놀이는 인간이 숨을 쉬는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놀이의 필수적 요소는 자발성이다. 따라서 어른은 아동에게 놀이를 가르칠 이유가 없다. 이처럼 놀이는 자연스럽고 자발적인 행위이므로 놀이를 통한 학습은 매우 흥미롭고 즐거우며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것이다.


② 놀이를 통해서 아동은 운동 기능, 사회적 기능, 지적인 기능을 동시에 습득할 수 있다. 공놀이하고 줄넘기하고, 딱지치기하면서 아동은 어떻게 하면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낼 수 있는지 배우고, 기구를 서로 나누어서 사용하는 법을 배우고, 차례를 지키는 일을 배우게 된다. 이런 활동들은 동시에 인지적 측면의 발달을 돕게 된다.

놀이를 통해서 아동은 근육의 성장을 이루고, 신체적인 협응과 기술능력을 습득한다. 만일 아이들에게 놀이가 없다면 이들의 근육과 신체 발달에 따른 양만큼의 운동량을 채울 수 없을 것이다. 아동은 많이 움직이며 최대한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놀이를 즐긴다고 한다.
④ 놀이는 아동의 사회적 사고의 성장을 돕는다. 놀이 속에서 아동은 계획하고, 상상하고, 어떤 상황에 대한 대안을 선택함으로써 그 결과의 차이를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 아동의 논리적 사고의 성장에 필수적인 요인이 된다.
5. 가상적 놀이 활동을 통해서 아동은 복잡하고 상징적이며, 추상적인 표상이 가능하게 된다.
⑥ 놀이 속에서 아동은 과거에 가졌던 경험을 새로운 상황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과거의 경험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한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경험한 의미 있는 학습을 일반화 내지 안정시킴으로써 장기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7. 놀이는 아동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출시키고 불안을 극복하게 하며, 갈등을 해소하게 하고, 과거의 좋지 못한 경험에서의 상처를 치유하게 한다. 놀이 활동을 통해서 긴장이나 불안, 공격적인 충동을 해소한 아동은 학습 상황에서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고, 자기 규제를 더 쉽게 한다. 
⑧ 놀이 그 자체가 사랑하고 일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삶이다. 아동의 놀이 활동은 곧 성인들의 게임이나 취미활동이나, 여러 가지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바둑을 두고 스포츠를 즐기고 영화를 즐기게 되는 것은 인간의 삶에 상당한 기분전환을 가져다준다.
⑨ 놀이는 아동의 성장을 돕는다. 놀이를 통해서 아동은 많은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사회적 기능을 증진하며, 개념의 발달을 가져오게 한다. 아동은 놀이를 통해서 친구들과의 생각을 교환하고, 서로를 가르치며 시간과 공간, 질과 양의 개념을 습득한다.
대부분의 경우 놀이는 신중하게 관찰되고 권하여진다. 이것은 놀이가 가진 기능과 가치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놀이의 기능과 가치에 대한 견해는 놀이의 이론에 대한 의견이 다르듯이 학자들에 따라 서로 다르다. 그러나 대체로 위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2. 성장(growth)과 발달(development)
1) 성장과 발달의 개념
(1) 발달 연구의 주안점
① 연령에 따른 변화를 알기 위해 정자와 난자의 수정에서 출생을 거쳐 발육하여 성장해 가는 과정까지의 인체 변화에 관한 파악.

성장, 발달이라는 생리적 현상이 어떻게 우리 생활과 관련되고 어떠한 노력과 생활이 행동의 바람직한 발달을 가져오는가.

성장 발달이라는 현상은 어떠한 요인이나 조건에 의해 규정되고 영향을 받는가.


도서출판 진리탐구

유아 체육 현장 지침서 유아 체육 교육

저자 소정룡

감수 손원호

편저 교육학 박사 소정룡

도서출판 진리탐구

 

'유아체육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과 발달  (0) 2022.09.29
유아 교육에서의 놀이  (0) 2022.09.29
유아 교육과 건강 지도  (0) 2022.09.29

댓글